안녕하세요? 지혜로운 동화입니다. 혹시 중독 소비하고 있지 않으신가요? 오늘은 내가 혹시 중독 소비를 하고 있지 않은지? 알아보고 체크도 해보겠습니다. 내가 만일 소비를 중독성 있게 하고 있다면 어떠한 원인으로 중독소비를 하고 있고
중독 소비를 벗어나기 위한 해결책도 제시 합니다.
중독 소비
반복되는 과소비는 조금조금씩 중독성이 높은 소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우리 인간은 쇼핑을 하면 뇌에서 도파민이란 물질이 생성이 됩니다. 도파민은 신경전달물질인데 게임을 하거나, 술을 마시고, 쇼핑을 하게 될 때 많이 생성하게 된다. 쇼핑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면 그 도파민이 생성하게 됩니다.
쇼핑은 자아형성과 연관이 깊다. 부정적인 자아 정서가 있으면 쇼핑중독으로 갈 가능성이 많아진다.
어렸을 때, 청소년기에 부모님과의 관계에서 사랑과 관심을 못 받을 경우와 현재 자신이 사랑과 관심이 없다고 느끼면 중독성 소비를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자신의 성격 문제 때문에 다른 사람과 관계에서 관심이나 대접을 좋지 않고 불균형적인 애정문제가 중독적인 소비를 할 수가 있다. 쇼핑중독은 미국 인구 약 10% 정도가 쇼핑중독으로 가는 통계가 있고 10%의 쇼핑중독 중 90%가 여성으로 통계로 나타났다.
가득 채워진 가방과 옷 등등 어떻게 하면 쇼핑중독을 예방할 수 있을까?
쇼핑중독 체크리스트
1. 쇼핑 습관을 스스로 통제가 되지 않는다.
2. 쇼핑할 때 죄의식이 든다.
3. 쇼핑할 때 드는 돈과 시간이 점점 늘어나지만 별다른 느낌이 없다.
4. 가족이 보지 못하게 쇼핑한 상품을 숨기는 행동을 한다.
5. 쇼핑은 스트레스나 불안한 느낌을 감소시키는 생활중의 일부가 되었다.
6. 물건이나 상품이 필요해서 구입하는 것보다 쇼핑하는 것을 좋아한다.
7. 쇼핑을 하고 나서 잘 쓰지 않은 상품이 집안에 많이 있다.
8. 쇼핑을 많이 하면서 돈의 문제가 생긴다.
9. 다른 사람이 알면 기절할 정도로 쇼핑을 많이 한다.
10. 물건이나 상품 내가 좋아하는 것을 사면 스트레스가 풀린다.
5,6,10번에 해당한다면 기분파이다. 2,3,4,7,9번은 과다한 쇼핑에 해당한다. 1,8번은 쇼핑중독이다.
자세한 것은 이분야의 전문가와 상담을 해야 한다.
중독 소비의 원인
부모의 이혼 후 아버지로부터 재정적인 지원이 없는 상황과 그 상황 속에서의 사랑과 관심이 없는 환경에서 생성되는 낮은 자존감 때문에 쇼핑중독으로 나타나게 된다. 모든 중독이 같지만 중요한 것은 쇼핑중독을 한다는 것을 선언하는 것이다.
가족의 불행으로 낮은 자존감이 생성이 되고 쇼핑중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족의 불행으로 나 자신이 빚을 만들게 된다. 가족들은 와해되면서 경제적으로 좋지 않은 상황을 만들게 되는 것이다.
중독 소비에서 벗어나려면
쇼핑중독이 있다면 홈쇼핑을 많이 봐왔다면 TV를 안 보도록 노력해야 하고 인터넷의 쇼핑중독이다면 인터넷을 안 하도록 해야 한다. 쇼핑중독을 벗어나려면 혼자 할 수 없다. 가족에게 도움을 받아야 한다.
비가 오면 우산이 있으면 덜 젖습니다. 폭풍처럼 쏟아지는 마케팅의 공격에서 나를 지키는 방법은 나 자신의 자존감을 높이 것이다. 우리는 소비를 하면 나는 행복할까요? 소비의 양을 높이면 행복하기 때문에 계속해서 소비를 높여야 할까?
소비를 하면 계속 행복할 수 없다.
어떠한 소비가 행복한 소비일까?
우리는 돈을 쓰는 소비보다는 삶의 질을 높이는 경험 같은 것에 돈을 쓰면 기억이 오래가고 그 행복감도 많아진다.
우리는 살면서 행복하게 사는 것을 좋아할 것이다. 행복은 주관적이고 나 자신이 판단하는 것이다.
소비를 많이 하면 행복할 거 같지만 그렇지 않다. 소비는 한정적이다. 우리 자신에 욕망이 많으면 행복할 수 없다.
욕심을 줄이면 행복하게 된다. 우리는 자본주의 시대에 살고 있다. 넘치도록 많아지는 상품과 시도 때도 없이 유혹하는 광고 마케팅에 우리는 중심을 잘 잡히지 않습니다. 드러내고 싶지 않아서 화려하게 포장합니다.
소비는 나 자신을 행복하게 만들지 못합니다. 그래서 나를 찾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내자신을 사랑하세요. 자존감을 높이면 돈을 적게 써도 행복합니다. 행복은 멀리 있는 게 아니다.
나 자신이 다른 사람에게 필요한 존재라는 것을 알게 되면 사람은 행복할 수 있다.
오늘 우리는 왜 중독 소비를 하고 있고 원인과 해결책을 알아보았습니다. 중독 소비는 어렸을 때나 청소년기에
부모님으로부터의 관계에서 좋지 않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불균형적인 애정관계가 만들어지면서 자존감이 많이 낮아져서 중독 소비로 이어져 좋지 않은 소비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중족 소비를 벗어나려면 주위의 따뜻한 마음과 사랑, 관심으로 자존감을 높여야 합니다.
행복은 멀리 있지 않습니다. 내 주위 가까운 곳에 있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축은행의 위험성 (0) | 2022.03.13 |
---|---|
은행에서 권하는 특정상품은? (0) | 2022.03.12 |
과소비는 왜 생기는가? (0) | 2022.03.10 |
마케터는 어떻게 마케팅하는가? (0) | 2022.03.09 |
달러는 어떻게 긴축통화가 되었나? (0) | 2022.03.08 |